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정신병적 장애와 발달장애

by Yulsi0601 2024. 7. 12.

정신병적 장애(psychotic disorders) 

현실과의 접촉이 손상되거나 왜곡되는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정신 질환이다. 이 장애는 망상, 환각, 비정상적인 사고 및 행동을 포함하며,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요 정신병적 장애에는 조현병, 망상 장애, 단기 정신병적 장애 등이 있다.

1. 주요 정신병적 장애의 유형
1) 조현병 (Schizophrenia)
특징: 조현병은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 비정상적인 운동 행동, 감정적 둔마 등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망상: 비현실적이거나 사실과 다른 강한 믿음. 예를 들어, 자신이 특별한 임무를 받았다고 믿는 등의 

         피해망상이나 과대망상이 있다.
환각: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감각적으로 경험하는 것. 예를 들어, 소리가 들리거나 보이지 않는 사람과 대화하는 등의 환청, 환각이 있다.
와해된 사고 및 언어: 논리적이지 않은 사고 흐름이나 이해하기 어려운 언어 사용.
비정상적인 운동 행동: 과도한 흥분 상태나 반대로 극도로 둔해지는 상태.
감정적 둔마: 감정 표현의 감소나 둔화.

 

2) 망상 장애 (Delusional Disorder)
특징: 주요 증상은 망상이며, 그 외에 조현병과 같은 뚜렷한 정신병적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유형
피해망상형: 누군가 자신을 해치려 한다고 믿는 경우.
과대망상형: 자신이 매우 중요한 인물이라고 믿는 경우.
질투 망상형: 배우자나 연인이 자신에게 불성실하다고 믿는 경우.
신체 망상형: 자기 신체에 이상이 있다고 믿는 경우.

 

3) 단기 정신병적 장애 (Brief Psychotic Disorder)
특징: 조현병과 유사한 정신병적 증상이 1일 이상, 1개월 미만 지속됩니다. 일시적인 스트레스 사건에 의해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2. 정신병적 장애의 원인
정신병적 장애의 원인은 복합적이며,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상호작용한다.

유전적 요인: 가족력에 따라 정신병적 장애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생물학적 요인: 뇌 구조적 이상,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 등이 정신병적 장애와 관련이 있다.
심리적 요인: 스트레스, 트라우마, 비정상적 인지 과정 등이 정신병적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환경적 요인: 사회적 지지 부족, 생활 스트레스, 약물 남용 등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 정신병적 장애의 진단
정신병적 장애는 임상 심리사나 정신과 의사에 의해 진단됩니다. 진단 과정에서는 임상 면담, 심리 검사, 병력 조사 등이 포함되며, DSM-5 또는 ICD-11의 진단 기준을 따른다.

4. 정신병적 장애의 치료
정신병적 장애의 치료에는 약물 치료와 심리 치료가 포함된다.

약물 치료: 항정신병 약물이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망상과 환각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심리 치료: 인지 행동 치료(CBT), 가족 치료, 사회 기술 훈련 등이 사용된다.

 

5. 생활 방식 변화 및 자기 관리
정신병적 장애 관리에는 생활 방식 변화와 자기 관리도 중요하다. 규칙적인 생활, 건강한 식습관,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기술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발달 장애(Developmental Disorders)

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속적이고 만성적인 장애로, 주로 어린 시기에 시작되어 개인의 전반적인 발달과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발달 장애는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지적 기능, 언어 및 의사소통, 사회적 상호작용, 학습 능력, 운동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친다. 주요 발달 장애에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지적 장애 등이 있다.

1. 주요 발달 장애의 유형
1) 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특징: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으며,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패턴을 보입니다. ASD는 경도부터 중증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다.
증상:
사회적 상호작용의 어려움: 눈 맞춤, 표정, 몸짓 등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부족.
의사소통의 어려움: 말하기 시작이 늦거나, 반복적인 언어 사용.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특정한 패턴의 행동, 집착적인 관심사, 일상의 변화에 대한 저항.

 

2)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특징: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등이 나타나며, 이는 학업, 직업,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증상:
주의력 결핍: 집중력 유지의 어려움, 세부 사항의 실수, 과제 완수의 어려움.
과잉행동: 가만히 있지 못하고 움직임, 과도한 말하기.
충동성: 차례 기다리기 어려움, 다른 사람의 말을 끊는 행동.

 

3) 지적 장애 (Intellectual Disability, ID)
특징: 지적 기능과 적응 행동에 제한이 있으며, 이는 학습, 의사소통,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증상:
지적 기능의 제한: 문제 해결, 계획 수립, 학습 능력 등의 어려움.
적응 행동의 제한: 사회적 책임감, 독립적인 생활 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부족.

 

2. 발달 장애의 원인
발달 장애의 원인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유전적 요인: 유전자 변이나 유전적 돌연변이가 발달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환경적 요인: 임신 중 독소 노출, 출산 시 합병증, 영양 부족 등이 발달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신경 발달 요인: 뇌의 구조적 및 기능적 이상이 발달 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3. 발달 장애의 진단
발달 장애의 진단은 주로 임상 심리사나 정신과 의사에 의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과정이 포함된다.

발달 이력 조사: 초기 발달 과정과 중요한 이정표에 대한 정보 수집.
심리 검사: 지능 검사, 적응 행동 검사,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평가.
행동 관찰: 일상생활에서의 행동 패턴과 상호작용 양상 관찰.

 

4. 발달 장애의 치료 및 개입
발달 장애의 치료와 개입은 개인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교육 및 특수 교육 서비스: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을 통해 학습과 발달을 지원한다.
언어 치료: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
작업 치료: 일상생활 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
행동 치료: 긍정적 행동 지원, 사회적 기술 훈련 등을 포함한 치료.
약물 치료: ADHD와 같은 특정 장애의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사용.

 

5. 가족 및 사회적 지원
발달 장애를 가진 개인과 그 가족을 위한 지원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부모 교육, 가족 상담, 지원 그룹, 지역 사회 자원 활용 등을 포함한다.

발달 장애는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개입을 통해 많은 부분에서 호전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지속적인 지원과 개별화된 접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