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범죄심리학의 개요

by Yulsi0601 2024. 6. 22.

범죄심리학의 정의

범죄심리학은 범죄를 일으키는 범죄자의 특성과 배경, 범죄인의 심리적 측면을 다루고, 환경 요인을 알아내 범죄 예방과 범죄 수사, 또한 범죄자의 갱생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 응용심리학의 하나로 분류된다. 범죄 심리학의 연구 영역은 범죄 정신의학, 범죄사회학, 형사 정책 등과 겹치는 부분도 많다. 또한 범죄학(법생물학)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다. 범죄심리학은 범죄 원인론 외에도 범죄 수사, 판결 과정, 범죄예측, 교정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되어 연구 및 응용되고 있다. 프로파일링의 경우 범죄심리학적 수사기법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받아들이는 것 중 하나이다. 

범죄심리학의 주제와 영역

연구 주제
과거 범죄심리학의 연구 주제는 범죄의 원인에 한정되었다. 그 당시 범죄 심리학은 범죄의
원인을 거시적인 사회에 돌리지 않고 개인적 요인에서 찾는 일종의 개인 내적 범죄 원인론에 초점을 두었다. 범죄의 원인을 밝히고자 한 이러한 범죄심리학적 연구는 그 원인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이런 연구가 범죄의 분석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미미하다는 점 때문에 한동안 주목받지 못하는 이론으로 전락할 위기를 맞기도 했지만, 연구방법론의 발전으로 인하여 심리학적 범죄 원인론이 다시 부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범죄의 실증적 연구 중 심리학적 원인을 찾고자 하는 연구는 1980년대에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주로 범죄 행동에 대한 심리적 원인, 범행 동기 등을 밝히는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범죄에 대한 심리학 이론의 적용이나 살인, 강간, 성범죄, 아동학대 등 특정 문제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도 범죄 심리학의 주요 연구 주제가 되고 있다. 

연구 영역 
미국의 경우 다양한 분야에서 범죄심리학적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다. 범죄학, 법과학, 행동과학, 형사정책, 법심리학, 법정심리학과 같은 분야에서 심리학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는 수사 심리학 등과 함께 매우 활발하게 연구물을 산출하는 전문화된 연구 영역으로 기능해 왔다. 범죄 심리학이라는 영역은 특정 범죄인의 심리 기제를 연구하는 미시적인 연구 영역뿐만 아니라 형사 사법 절차에 포함되는 경찰, 법원, 교정 단계에서 활용되는 광의의 심리학적 연구 영역까지 포함하고 있다. 

범죄 원인론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원인에 관한 이론이다. 범죄 원인론은 고전 학파와 실증학파로
분류할 수 있다. 고전학파는 범죄 행동에 대한 자유의지론을 주장하고 실증학파는 범죄 행동을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특정한 원인에 의한 것으로 보는 결정론적 입장을 가지고 있다.
1) 사회학적 범죄 원인론
1920년대 미국 시카고학파의 사회 생태학적 연구를 시작으로 범죄 행동의 원인을
범죄자의 사회적 환경에 초점을 맞춘 이론이다. 크게 사회구조이론과 사회과정이론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 사회구조와 범죄
지역이나 계층과 같은 사회 구조에 따라 범죄의 유형이 다양해지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회경제적 하류 계층을 범죄의 일차적 원인으로 간주하고
생태학적 범죄이론, 긴장 이론, 하위문화이론 등이 있다. 
사회해체 이론은 지역사회의 제도적 조건을 중심으로 범죄의 원인을 규명한다.
긴장 이론은 비행이나 범죄를 개인이 합법적으로 사회적 성공을 성취하지 못한 울분과
좌절의 결과로 보고 있다. Durkheim은 사회가 산업화와 도시화로 급격한 변화를 겪으면
사회적 상호작용을 지배할 수 있는 적절한 규범을 갖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사회 구조적 상황을 아노미상태, 무규범 상태라고 일컫는다. Merton은 문화적으로 규정된 목표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합법적 수단 사이의 불일치가 아노미 상태를 초래하고, 불일치로 인한 좌절을 경험한 사람은 일탈적인 수단인 범죄에 의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하위문화 이론은 하층의 청소년이 교육, 영향력 있는 인간관계 등 사회적 성공을 위한
승인된 수단에서 소외되기 쉽고, 이것을 상쇄하기 위해 그들이 성공적이고 중요하다고
느끼는 자신만의 하위문화를 개발하게 된다고 본다.

생물학적 범죄 원인론
초기의 결정론적 실증주의자들은 자신이 통제할 수 없는 타고난 조건이 그 사람의 행동유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 인간의 외양이 그 사람의 특성을 드러낸다고 믿었기 때문에 범죄의 원인을 범죄자의 체형에서 찾고자 했다. 일부 범행을 선택하는 사람은 생물학적 결함이 있는 사람들이라고 믿었다.

초기의 법생물학
롬브로소는 소질론 적 범죄 원인을 제기하고 자연과학적이고 실증주의적으로 그 원인을 연구한 개척자로서 생물학적 입장의 대표자라 할 수 있다. 그는 법률위반자가 관습적인 가치를 지닌 사람들과 신체적으로 무엇이 다른가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사형수들의 시체를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그는 상습적인 절도나 폭력범죄자들은 애초부터 범죄자로 태어났고 이것은 격세유전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롬브로소의 연구를 과학적 사실이라기보다는 일종의 역사적 호기심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법 생물학의 또 다른 관점은 범죄자가 독특한 체형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체형학파이다. 셸 든 세 가지의 신체형을 구분하였는데 첫째는 비만형으로 유쾌한 성격과 사회성을 지닌 경우가 많고, 둘째는 근육형으로 대담하고 주장이 강한 성격을 가지며, 셋째는 두뇌형으로 내성적이고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가 많다. 셸 든 근육형이 범죄성향과 관련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여 인간의 체형과 기질의 관련성을 이론화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이트의 정신 분석 이론  (0) 2024.06.25
뇌와 신경계  (0) 2024.06.24
심리검사의 종류 3  (0) 2024.06.22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학습이론  (0) 2024.06.22
학습심리학 - 사회학습이론  (0) 2024.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