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학습심리학 - 사회학습이론

by Yulsi0601 2024. 6. 22.

사회학습이론 

사회 학습 이론의 주요 원리

학습은 순전히 '자극과 반응'의 행동만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사회적 맥락에서 일어나는 인지 과정이다. 

학습은 행동을 관찰하고 행동의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대리 강화라고 한다. 학습에는 관찰, 

해당 관찰에서 정보 추출 및 행동 수행에 대한 결정과 관찰 학습 또는 모형화가 포함된다. 따라서 학습은 눈에 띄는

행동 변화 없이 발생할 수 있다. 강화는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학습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없다. 학습자는 수동적인 정보 수신자가 아니다. 인식, 환경 및 행동은 모두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이것을 상호 결정론이라고 한다.

관찰학습

관찰학습 또는 모형화는 행동주의 심리학과 인지주의 심리학 이론이 반영된 것으로,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 결과의 관찰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보는 이론이다. 
이 이론은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작적 조건화 이론 및 인지심리학 등에 그 기반을 두고 있으며 개체가 개별적으로 어떤 행동을 수정할 수 있다는 면과 함께 다른 개체의 모델 행동을 통해 보상하는 모방에서 더 많은 유기체가 그런 유의미한 행동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심리학 이론이다.

앨버트 밴듀라는 인간을 사회적인 동물로 보고, 직접적인 보상이나 벌의 결과를 통해서만 바람직한 행동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행동과 그 결과를 관찰하는 것으로도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이것을 관찰학습이라고 하는데 관찰학습에는 관찰을 통한 고전적 조건화와 관찰을 통한 조작적 조건화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관찰을 통한 고전적 조건화 
어떤 유기체가 특정 조건자극에 대해 공포 반응을 느끼는 장면을 보면 다른 유기체는 그 조건자극에 대한 공포반응을 학습하게 된다. 예를 들면, 뱀을 보고 깜짝 놀라는 형을 본 동생이 다음부터 뱀을 보면 놀라게 되는 것이다.

관찰을 통한 조작적 조건화 
어떤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강화를 받는 것을 목격했다면 다른 유기체도 그 행동을 하기 원하게 된다. 예를 들면 누나가 야채를 먹은 뒤 부모님께 칭찬받은 것을 동생이 보면 동생도 야채를 먹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유기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혐오자극이 제공되는 것을 목격한다면 다른 유기체도 그 행동을 하지 않으려 한다. 마치 학교에서 잡담하는 아이를 벌준 뒤 다른 아이들이 덩달아 조용해지는 것과 같다. 이처럼 조작적 조건화의 과정과 같이 모든 유기체가 강화나 벌을 받은 것이 아님에도 관찰을 통해 행동의 빈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것을 관찰학습이라고 하는 것이다.

관찰학습의 과정
이런 관찰학습은 기본적인 네 가지 과정에 의해 구분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주의집중
주의집중 과정은 유기체가 관찰학습의 모델이 되는 행동과 그 결과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말한다. 이는 관찰학습의 가장 기본적인 단계가 된다. 만약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집중하지 않거나 부적절한 측면에 주의를 집중한다면 관찰학습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관찰학습의 모델이 되는 행동이나 그 모델은 관찰학습을 경험하는 관찰자의 주의를 이끄는 힘이 있어야 한다. 인간은 유능하고 호감이 가며 인격이 훌륭한 모델에게 더 주의를 잘 기울이는 경향이 있다.
2) 파지
파지 과정은 관찰학습의 모델이 되는 행동을 돌이켜보기 위해 관찰자가 하는 인지적 행위이다. 파지 과정에서는 관찰한 행동들을 보통 언어로 표상하여 기억하는데, 언어적인 표현이 힘든 것은 이미지로 기억하게 된다. 만약 기억하지 못한다면 관찰학습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파지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인지적 시연이다. 인지적 시연은 언어나 이미지의 형태로 
기억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속으로 그려보는 것을 말한다. 

3) 행동 재생
행동 재생 과정은 기억되어 있는 모델의 행동을 본인의 신체로 직접 재생산하는 과정을 말한다. 관찰한 모방 행동을 성공적으로 재생하려면 머릿속에 기억한 것만으로는 안 되고, 직접 행동으로 연습해 보아야 정확하고 성공적인 모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밴듀라는 관찰자의 행동이 모델 행동과 일치되기 위해서는 실제 운동적 반복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운동 재생의 과정을 통해 관찰자는 모델의 행동을 완전히 숙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4) 동기화
동기화는 실제 행동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동기나 욕구의 과정을 말한다.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운동 능력을 지니게 되었다고 하더라도 유기체가 직접 행동하려는 동기가 없으면 실제 행동으로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 동기화를 결정짓는 요인은 행동의 결과가 어떤 것이냐 하는 것인데, 모델에게 주어진 행동의 결과가 어떤 것이었느냐에 따라 동기화의 결과가 달라진다. 따라서 관찰자의 성공적인 관찰 학습을 위해 바람직한 행동을 할 때마다 강화인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상호결정론
상호결정론은 환경 자극이 인간 행동에 영향을 주지만 신념, 기대와 같은 사람 요인 역시 인간의 행동 방식에 영향을 준다는 가정이다. 인간의 행동은 배타적으로 내적 요인이나 외적 요인에 의해, 혹은 단순한 둘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행동, 인지. 환경 요인을 수반하는 상호결정론에 기인한다. 세 요인 상호 결정론은 인지 및 다른 사람 요인, 행동, 환경 영향이 서로의 결정요인으로서 상호작용한다는 원리이다. 사람들은 단순히 환경과 사건에 반응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자신의 환경을 창조하고 변화시키기 위해 행동한다. 인지 요인은 어떤 환경 사건이 지각될 것인가와 어떻게 해석되고, 조직화하고, 다루어질 것인가를 결정한다.
행동으로부터 정적 혹은 부적 피드백은 역으로 사람들의 생각과 그들이 환경을 변화시키려고 행동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